본문 바로가기
OLD_News

News ] 민증 안가져왔다고?… 카카오톡만 있으면 'OK'

by 달승 2020. 12. 17.

신문사 : MoneyS

작성 일시 : 2020.12.17

기사 제목 : 민증 안가져왔다고?… 카카오톡만 있으면 'OK'

 

민증 안가져왔다고?… 카카오톡만 있으면 'OK'

신분증·자격증·증명서를 휴대폰에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지갑'이 지난 16일 베일을 벗었다. 카카오는 이날 신분증·자격증·증명서를 카카오톡에서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지

news.naver.com

신분증·자격증·증명서를 휴대폰에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지갑'이 지난 16일 베일을 벗었다.
카카오는 이날 신분증·자격증·증명서를 카카오톡에서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지갑을 출시했다. 카카오톡 지갑은 이용자들이 몰려 일시적으로 접속장애가 발생하기도 했다.

카카오톡 지갑은 카카오톡 최신 버전(v9.1.5) 업데이트 후 카카오톡 더보기 탭에서 이용 가능하다. 우선 지갑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약관 동의와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용자들은 개인의 신원확인과 인증, 전자서명이 필요한 상황에서 기존 공인인증서 대신 지갑 내 카카오 인증서를 활용할 수 있다.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는 지난달 18일 ‘if(kakao)2020’ 콘퍼런스 첫날 기자간담회에서 카카오톡 지갑과 관련 "일상에서 본인을 증명하는 것이 불편한 부분에 주목해 ‘디지털 신분증’이라는 개념을 생각했고 카카오톡 안에 ‘지갑’ 이라는 공간을 준비하게 됐다”며 “디지털 기반으로 많은 것이 변하는 사회에서 모바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신원을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다면 우리 일상은 더 편리해 지고 나중에는 카카오톡이 실물 지갑을 완전히 대체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카카오톡 지갑에는 내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코로나19 감염 및 확산 방지를 위해 도입된 전자출입명부인 QR체크인 ▲지난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규제 샌드박스 허가를 획득한 모바일 운전면허확인 서비스 ▲산업인력공단이 발급하는 495 종목의 국가기술자격증 등이 담기게 된다. 이외에도 모바일 학생증을 비롯해 모바일 신분/자격 증명 서비스가 필요한 각종 단체, 재단, 기업, 교육기관 등과 추가 파트너십을 맺어 다양한 신분/자격 증명이 담기게 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는 위·변조 및 부인방지를 위해 발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등 카카오가 보유한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을 적용했다. 이용자들은 분실이나 훼손 우려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자신을 증명하고 자격을 증명할 수 있게 된다.

김택수 카카오 CPO(서비스부문 책임자)는 “카카오톡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자신의 존재와 자격, 경력을 증명할 수 있어 일상이 더욱 편리해질 것"이라며 "카카오톡 지갑이 더욱 많은 곳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제휴처와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암호화폐에서 사용되는 암호기술은 아래와 같다.
- 해시(Hash) 함수
- 전자 서명 (Digital Signalture)
-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Cryptography)

해시 함수
: 임의 데이터를 특정 길이의 문자, 숫자로 조합된 해시 값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의 일종.
 해시함수에서 산출되는 Hash value는 지문(Fingerprint)라고도 하는데, Hash check를 통해 원본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무결성 검증에 사용함.

블록체인에서 해시함수를 이용하는 3가지 목적
1. 공개키의 해시 값을 지갑 주소로 활용, 익명화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2. 2가지 무결성 검증을 사용하기 위해 
  |---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 헤더의 해시 값 활용
  |--- 블록 전체 거래를 하나의 해시값(머클루트:Merkle Root)으로 저장하고, 언제든 개별 거래의 위변조 여부 검증
3. 합의 알고리즘에서 PoW(Proof of Work)방식을 사용할 경우, 해시 값을 활용한 채굴 문제에 활용


'머클루트(Merkle Root)'란 블록체인의 원소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의 부분에 저장된 트랜잭션들의 해시트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머클트리(Merkle Tree)' 혹은 '해시트리(Hash Tree)'라는 데이터 구조는 Ralph Merkle이라는 사람이 1979년에 특허를 낸 개념입니다. 머클트리의 목적은 빠른 검색이 아니라 데이터의 간편하고 확실한 인증을 위해 사용합니다.
>> 참조

'채굴(mining)'은 컴퓨터 처리능력(processing power)을 사용하여 수행 기록을 남기는 과정 or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의 공공 원장에 거래 기록을 추가하는 과정입니다. 채굴의 존재 이유는 모든 거래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참여자들이 이 원장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이는 또한 합당한 비트코인 거래와 다른 곳에서 쓴 돈을 다시 지출(re=spending)하는 것을 구분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 참조

 

블록체인의 암호기술: 해시함수 활용

블록체인을 활용한 암호화폐에서 사용되는 암호기술은 해시 (Hash) 함수, 전자서명 (Digital Signature), 공개키 암호화 (Cryptography) 알고리즘이다. 해시(Hash) 함수는 임의 데이터를 특정 길이의 문자, 숫

brunch.co.kr

 

댓글